데일리 미션/Article

Aricle : 북극성 지표와 인풋 정의하기

pipiiiiii 2024. 8. 11. 21:48

https://playinpap.github.io/north-star-metric/

 

북극성 지표와 인풋 정의하기

오늘의 글은 주니어 기획자 및 PMO를 위해 토스 PO세션 이후 노스 스타 플레이북 을 스터디한 내용…

playinpap.github.io

 

 

 

 

<아티클 내용 요약>

리텐션은 중요하지만, 그 자체로 목적이 되지 않는다.

PMF를 찾았다는 근거는 Retention Plateau의 유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고 제품팀의 목표를 '리텐션 개선'으로 잡기는 어려운데, 그 이유는 리텐션 개선은 제품 개선을 위한 노력이 잘 먹혔는지 결과로서 따라오는 '후행 지표'이기 때문이다. 또한, 리텐션은 특정 기간 이후의 성과 측정을 통해 판단해야 하기에 A/B 테스팅을 통해 리텐션 개선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려면 꽤 오랜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리텐션을 개선하겠다는 목표는 거대하고 어떻게 달성할지 다음이 그려지지 않는 모호한 목표일 수 있다. 

 

 

North Star Metric과 북극성 지표

'North Star Metric'은 고객이 제품을 사용하면서 얻게 되는 핵심 가치를 객관적인 수치로 측정하며 제품을 개발하는 프레임워크다. 해결하고자 하는 고객의 문제와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성과 사이의 관계를 담고 있는 단 하나의 비율을 뜻하는 '북극성 지표'와 북극성 지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상호 보완적 요소들의 집합인 '인풋 지표'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북극성 지표는 프로덕트 전략을 대표하는 단 하나의 비율이고 인풋 지표는 이를 도출하는 개념으로 프로덕트와 비즈니스 모델이 단일한 대부분의 경우에는 하나의 북극성 지표를 가진다. 그러나 다양한 고객 기반,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경우 여러개의 북극성 지표와 인풋이 나타날 수 있다. 

 

 

제품 주도적인 조직에서는 North Star Metric을 세팅하는 이유 

제품 주도적인 조직에서는 고객의 문제를 탐색하고 해결책을 검증하기 위해 세부 조직 간 원활한 협업을 한다. 단 하나의 핵심 지표를 관리하는 'North Star Framework'를 활용하면 고객 만족을 위한 유저 임팩트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다. 

 

 

우리는 어떤 게임을 하고 있는가

Attention game

고객이 우리 프로덕트에 얼마나 시간을 할애할 의향이 있는가 

광고 비즈니스 모델을 갖고 있거나, SNS 등의 성격을 가진 프로덕트에서는 광고 노출수 및 유저들의 사용량이 중요하기 때문에 사용 시간이 프로덕트에 대한 만족도로 이어지는 Attention 게임을 하는 프로덕트에서는 유저들이 프로덕트에 푹 빠져서 더 자주 사용하는 것이 성공적인 프로덕트의 기준이 된다. 

 

Transaction game 

고객이 우리 프로덕트를 통해 얼마나 많은 거래를 일으키는가

고객이 필요로하는 적절한 것을 쉽게 찾고, 고객의 거래를 하는 것을 도우며 생산과 배송으 추적하는 커머스 모델 등이 속할 수 있다. 

 

Productivity game

고객이 얼마나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업무를 완료했는가

처리해야 하는 일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프로덕트를 사용하는 경우다.

그렇기 때문에, 유저가 여러분의 프로덕트를 사용하는 횟수가 줄어드는 것이 되려 프로덕트의 성공을 측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도구적 성격을 가진 제품이 이에 포함된다. 

 

 

북극성 지표 체크리스트

북극성 지표를 설정할 때는 몇가지 사항을 체크하며 세워보는 것이 좋다. 

  1. 고객 가치를 담고 있는가. 
    북극성 지표는 고객이 제품의 핵심 가치를 경험하는 순간인 'A-ha moment'를 찾는 것처럼 프로덕트 비전 및 고객 가치를 대표하고 있어야 한다. 

  2. 미래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선행 지표인가 
    '결제/구독'을 할 가능성이 높은 유저와 관련 있는 특성을 중심으로 북극성 지표를 설정하는 것이 결과론적인 후행 지표보다 정확할 수 있다. 

  3. 실행 가능한 상태로 정의되었는가 
    쉽게 말해, 제품팀이 영향을 주거나 변화를 줄 수 있는 지표여야 한다. 

  4. 측정 가능한 형태로 정의되었는가 
    프로덕트의 비전 및 전략을 담더라도 측정 가능할 정도로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정의해야 한다는 뜻이다. 

  5. 미래가 보이지 않는 허황된 지표는 아닌가

북극성 지표를 둘러 싼 오해 

북극성 지표를 지나치게 맹신하여 의사를 결정할 때 단 한가지의 기준만을 고려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한 가지의 기준만 맹신하게 되면 프로덕트를 둘러 싼 생태계의 작동 방식을 지나치게 단순화하게 되어, 전체적인 관점에서 이해할 수 없고 다른 요소의 균형을 망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인풋 지표는 행동을 반영하고, 아웃풋 지표는 결과를 반영한다.

인풋 지표는 '선행 지표'이며 북극성 지표(아웃풋 지표)는 이에 대한 결과를 보여주는 후행 지표에 해당하기 때문에 인풋 지표의 변화를 '산출 지표'로서의 북극성 지표가 반영하는 데에는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즉, 인풋 지표가 부정적인 결과를 낳았더라도 북극성 지표는 후행하여 결과를 반영해 문제가 있었다는 것을 알 즈음에는 이미 손해가 발생한 뒤일 수 있다. 

 

따라서 단순화해서 팀의 업무 집중도를 높이는 것은 좋지만, 지표는 집합적으로 판단해야 비즈니스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알게 된 개념>

북극성 지표에 대해 다른 아티클을 통해서 알았지만 실제로 사용할 때는 어떤지와 어떤 유이점이 있는지는 이번 아티클을 통해서 알게됐다. 그리고 북극성 지표가 후행 지표라서 선행은 따로 있다는 것도 새롭게 알 수 있었다. 

 

다음에는 지표에 관한 아티클을 읽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