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8

Article : 데이터 분석가가 되고 싶은 취준생을 위한 안내서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649/ 데이터 분석가가 되고 싶은 취준생을 위한 안내서 | 요즘IT 최근 저희 조직에 학부생 인턴으로 지원한 분들과 면접을 진행했습니다. 인터뷰를 통해 대학생들의 다양한 가치관과 생각, 그리고 앞으로의 목표 등을 배울 수 있는 기회였는데요. 면접에서 지 yozm.wishket.com 취준생에겐 어려운 '데이터 경험 쌓기' - 취업 준비생(이하 취준생은 데이터 분석 경험을 쌓기 위해 보통 '사이트 프로젝트'에 도전하게 되며, 약간은 비슷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그러다 보니 취업을 처음 준비하는 분들의 이력서 혹은 포트폴리오에서 자주 보이는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들은 어떤 프로젝트인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 '조직의 것이 아닌 ..

Article : 개발자 생활 첫 10년, 이 세 가지가 중요합니다.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2025/ 개발자 생활 첫 10년, 이 세 가지가 중요합니다 | 요즘IT 앞으로 30년 혹은 그 이상을 개발자로 살고 싶은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제 경험을 3회차의 연재 글로 풀어볼 겁니다. 1) 성장하는 10년, 2) 리딩하면서 일하는 10년, 3) yozm.wishket.com - 30년 커리어 패스의 첫 번째 10년에 필요한 엔지니어링 역량은 총 3가지다. 개발에 대한 기본 지식 - 엔지니어링 역량에는 기본 개발 지식이 1순위다. - 차에 엔진이 있다는 사실과 핸들로 바퀴를 조정하는 방법 정도는 알아야 운전을 잘할 수 있듯이 개발도 마찬가지다. 하드웨어, 운영체제,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데이터베이스와..

Article : 택배 배송 과정으로 알아보는 엄청 쉬운 컴퓨터 네트워크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906/ 택배 배송 과정으로 알아보는 엄청 쉬운 컴퓨터 네트워크 | 요즘IT 네트워크는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공부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많습니다. 대학에서는 네트워크 기초만 한 학기 동안 배울 만큼 공부할 분량도 많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번 시리즈에 yozm.wishket.com - 네트워크에서 '프로토콜'은 중요한 개념이다. - 일을 하면서 'TCP/IP'라는 단어를 들어볼 수 있는데, 이것이 우리가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표준 프로토콜이다. - 우리가 인터넷에서 다른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것은 이 'TCP/IP' 덕분이다. - 자세히 보자면, 'TCP/IP'에서는 내가 www.naver.com을 치고 그 ..

01. 파이썬이란 무엇인가?

출 처 : 박응용, 『Do it! 점프 투 파이썬 - 전면 개정 2판』, 서울 : 이지스퍼블링(23.08.01.), 1장 01 - 1. 파이썬이란? 1990년 암스테르담의 귀도 반 로섬이 개발한 인터프리터 언어이다. 사전적 의미는 '고대 신화에 나오는 파르나소스 산의 동굴에 살던 큰 뱀'을 뜻한다. 사전적 의미로 인해 파이썬 책 표지와 아이콘이 뱀 모양으로 그려져 있다. 파이썬 프로그램은 공동 작업과 유지 보수가 매우 쉽고 편리하다. 01 - 2. 파이썬의 특징 파이썬은 인간다운 언어이다. - 프로그래밍이란 인간이 생각하는 것을 컴퓨터에 지시하는 행위다. - 파이썬은 사람이 생각하는 방식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는 언어다. 문법이 쉬워 빠르게 배울 수 있다. 무료이지만 강력하다. - 프로그래머는 만들고자 ..

Article : 주니어 개발자를 위한 엄청 쉬운 네트워크 이야기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875/ 주니어 개발자를 위한 엄청 쉬운 네트워크 이야기 | 요즘IT 저는 5년차 개발자입니다. 회사에서 신입 개발자들과 함께 일하다 보면 네트워크에 관해 모르는 분들이 많으시더군요. 저도 사실 처음에는 그랬습니다. 그런데 일을 하다 보니 주니어 개발자 yozm.wishket.com - 주니어 개발자가 더 성장해 주니어 이상으로 도약하려면 네트워크 지식이 꼭 필요하다. 주니어 개발자가 네트워크를 알아야 하는 이유 - 경력이 늘어감에 따라 아키텍처 ( 뜻 : 목표하는 대상에 대하여 그 구성과 동작 원리, 구성 요소 간의 관계 및 시스템 외부 환경과의 관계 등을 설명하는 설계도 혹은 청사진 )를 고려하여 의사결정을 진행할 일이 생기고..

Article : 데이터 분석가가 갖춰야 할 9가지 역량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2070/ 데이터 분석가가 갖춰야 할 9가지 역량 | 요즘IT 최근 노코드 툴, 데이터 플랫폼, ChatGPT 등이 등장하면서 데이터 분석가에게 요구되는 역량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데이터 분석가가 갖춰야 할 9가지 역량을 크게 하드 스킬과 소프 yozm.wishket.com - 최근에는 데이터 분석가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변화하고 있다. Article을 통해 데이터 분석가가 갖춰야 할 9가지 역량을 알보고자 한다. 데이터 분석가에게 필요한 하드 스킬 사용 언어 데이터 분석가가 실무에서 데이터 추출 및 간단한 분석을 할 때 주로 SQL을 사용한다. 더불어 심화된 분석이 필요할 때는 파이썬을 주로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데이..

Article : [insight] 인사이트에 대하여

https://brunch.co.kr/@seonhongchae/187 [insight]인사이트에 대하여... 우리는 인사이트를 얼마나 알고 있는가 | 직장 생활할 때만해도 "인사이트"란 말을 딱히 쓴 기억은 없어. 직장 상사나 경영진들끼리는 자주 사용했을지 몰라도 실무진 선까지 내려 온 일들은 일 brunch.co.kr - 인사이트의 정의에 대해 이야기를 먼저 하면 영어단어 ' Insight '를 번역하면 통찰력이라고 할 수 있다. 통찰력은 꿰뚫어 살필 수 있는 능력이다. 그럼 무엇을 꿰뚫어 살피는 걸까? 바로 일반적으로 잘 알아내기 힘든 사물이나 현상의 본질, 속사정, 드러나지 않거나 숨겨진 가치 같은 것들을 꿰뚫어 보는 것이다. - 인사이트는 어디서 생기는 걸까? 영어 단어 ' Insight '를 살..

Article : 영리한 개발자와 현명한 개발자의 차이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769/ 영리한 개발자와 현명한 개발자의 차이점 | 요즘IT 대부분의 개발자는 코드 작성에 있어서는 영리하지만, 여러 상황에서 영리함은 강점이자 약점일 수 있습니다. 상식과 물정에 밝고 경험이 풍부하다면, 개발자가 문제를 해결하기보다 피하는 데 yozm.wishket.com - 대부분의 개발자는 코드 작성에 있어서는 영리하지만, 여러 상황에서 영리함은 강점이자 약점일 수 있다. - 상식과 물정에 밝고 경험이 풍부하다면, 개발자가 문제를 해결하기보다 피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침묵할 때, 싸울 때, 도망가서 숨을 때를 아는 현명한(시니어) 개발자는 영리한(주니어) 개발자보다 유리하다. 영리함과 현명함의 차이 - 개발자는 업무 ..

Article : 신입 PM에 대한 생각

https://brunch.co.kr/@peekmore/34?utm_source=oneoneone 신입 PM에 대한 생각 요즘 내 인스타그램은 신입 PM이 되기 위한 각종 부트캠프, 강의, 스터디 광고로 넘쳐난다. 그런 광고들을 보면 꼭 한번씩은 눌러서 어떤 내용인지 확인하는 편인데, 이게 진짜 유용한 교육인지 brunch.co.kr - 요즘 SNS에 신입 PM이 되기 위한 각종 부트캠프, 강의, 스터디 광고가 많다. 그런 광고들을 보면 진짜 유용한 교육인지 의문이 들 때가 많다. 그만큼 요즘 PM 직무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고 그에 비해 정보는 부족한 편이라고 생각한다. - 결론부터 말하자면, 신입이 PM으로 바로 일하기는 정말 어렵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직무 전환이 많을 수밖에 없는 직군이라고 본다. ..

Article : SQL 가독성을 높이는 다섯 가지 사소한 습관

https://datarian.io/blog/good-sql-code?utm_source=home-copy&utm_medium=home-copy SQL 가독성을 높이는 다섯 가지 사소한 습관 지독하게 읽기 힘든 SQL문을 해석해 본 적 있으신가요? datarian.io - SQL은 띄어쓰기, 들여 쓰기에 거의 규칙이 없다시피 한 언어라서 자유롭다고 느낄 수 있지만 남이 써놓은 SQL문을 해독하면서 가독성이 좋지 않아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1. 예약어는 대문자로 - SELECT, FROM 같은 SQL 예약어들을 대문자로 쓰는 습관이 좋다. - SQL 언어를 지원하는 에디터를 쓰는 경우 예약어를 다른 색으로 하이라이팅 해서 대문자가 아니어도 잘 보이지만 에디터마다 하이라이팅 규칙이 다르고, 함수들 이름도..